
1. 화폐의 정의 화폐라는 말을 들으면 가장 먼저 '돈'을 떠올리게 되는데 일상생활에서의 돈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화폐라는 용어는 소득이나 재산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위미가 아니라 교환의 매개물 또는 거래의 지불수단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거래의 지불수단이라고 하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종이지폐나 주화 등 정부가 발행한 화폐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경제에서 지폐나 주화를 매개로 하는 거래보다는 수표, 어음, 신용카드등을 이용한 거래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폐이 범주 안에는 우리가 보통 화폐라고 생각하는 것뿐 아니라 수표, 어음, 신용카드처럼 교환의 매개물이나 거래의 지불수단이 될 수 있는 것 모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1. 생산요소의 가격과 고용량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는 상품에 대한 수요에서 파생되어 나온다는 의미에서 파생수요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염두에 두고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기 때문에 각 생산요소의 가격이 그것의 한계생산가치와 같아지는 수준까지 고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한계생산가치를 나타내는 곡선이 그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곡선이 됩니다. 각 개인의 노동공급에 관한 결정은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임금률의 상승은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 두 효과는 소비자가 공급하려는 노동의 양에 상반된 영향을 미칩니다. 상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산요소도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그 가격과 고용량이 결정됩니다. 지대는 토지 사용에 대한 대가..

1. 경제학의 개념 경제학은 인간의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욕망은 무한한 반면 그것을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 제한되어 있어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경재학은 바로 이선택의 문제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제학에서 모든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라는 기본가정을 채택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합리성은 수단의 합리성을 뜻하는 것이며 목표 그 자체의 합리성 혹은 윤리성과는 무관합니다.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서는 어떤 행위와 관련된 비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데 경제학적으로 타당한 비용의 개념은 기회비용입니다. 기회비용은 어떤 행위를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행위 중 가장 큰 가치를 갖는 행위의 가치로 말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의 상품시장과 경쟁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완전경쟁시장 시장의 형태는 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경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판매자의 수, 개별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상품의 동질성 여부, 진입장멱의 존재, 비가격경쟁의 존재 등의 특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완전경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모두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모든 상품이 동질적이고 자원의 완전한 이동성이 보장되어있어야 하고 모든 경제주체가 완전한 정보를 같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단기에서 완전경쟁시장 안의 개별기업은 주어진 가격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수준까지 상품을 생산해 이윤을 극대화합니다. 그런데 주어진 가격이 너무 낮으면 기업은 생산을 중단해 버립니..